Awake 함수는 생성자이다.
component를 생성할 때 awake함수에서 실행하면 된다.
무엇인가를 생성(set)해줄 때 사용.
Start함수는
첫 업데이트 직전에 호출되며 스크립트가 활성화 되어야 작동.
기능을 부여할 때 사용.
Physics를 조절하는 방법(움직임 jitter줄이기)
rigidbody
물리 연산 가능하게하는 component 일반적으로 collider와 함께 사용./
이동시 rigidbody의 velocity사용해서 이동하기(물리적용 이동)
collision detection(방법 선택 가능)
interpolate(이전 씬과 다음 씬의 이동을 보간해줘서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만듦.)
extrapolate - 속도에 따른 예상 범위로의 보간.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사용함.
physics Material
마찰력, 탄성 조절 가능
물리엔진은 fixed time step을 사용한다.
따라서, fixedUpdate에서 움직인다.
*‘|=‘ 연산자는 명시적으로 false값을 만들어 주기 전까지
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.
'programming > c#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니티 line renderer로 그리드 생성 (0) | 2020.02.15 |
---|---|
유니티 객체 생성하기 (Instantiate) (0) | 2020.02.02 |
GPU Instancing 최적화! 최적화! (1) | 2020.01.01 |
GetPixels (0) | 2020.01.01 |
유니티 C# and Shader Study <Basics 01 _ Fractal> (0) | 2019.12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