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programming > 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9. 함수, 변수 (0) | 2019.04.19 |
---|---|
숙제 (0) | 2019.04.12 |
실습01 (0) | 2019.04.08 |
08. 자료형, 메모리 크기 (0) | 2019.04.03 |
07. 숙제 (0) | 2019.03.29 |
09. 함수, 변수 (0) | 2019.04.19 |
---|---|
숙제 (0) | 2019.04.12 |
실습01 (0) | 2019.04.08 |
08. 자료형, 메모리 크기 (0) | 2019.04.03 |
07. 숙제 (0) | 2019.03.29 |
#include <studio.h> int main() { double x, y; int m, n; printf("실수 2개를 입력하시오."); scanf("%lf %lf", &x, &y); printf("입력한 정수는 %lf와 %lf입니다.\n", x, y); printf("x+y의 결과값: %lf\n", x + y); printf("x-y의 결과값: %lf\n", x - y); printf("x*y의 결과값: %lf\n", x * y); printf("x/y의 결과값: %lf\n", x / y); printf("x==y의 결과값: %d\n", x == y); printf("x!=y의 결과값: %d\n", x != y); printf("x>y의 결과값: %d\n", x > y); printf("x<y의 결과값: %d\n", x < y); printf("x >= y의 결과값: %d\n", x >= y); printf("x<=y의 결과값: %d\n\n", x <= y); printf("정수 2개를 입력하시오."); scanf("%d %d", &m, &n); printf("입력한 정수에 연산된 %d와 %d입니다.\n", ++m, --n); printf("m+n의 결과값: %d\n", m + n); printf("m-n의 결과값: %d\n", m - n); printf("m*n의 결과값: %d\n", m * n); printf("m/n의 결과값: %d\n", m / n); printf("m%%n의 결과값: %d\n", m % n); printf("m==n의 결과값: %d\n", m == n); printf("m!=n의 결과값: %d\n", m != n); printf("m>n의 결과값: %d\n", m > n); printf("m<n의 결과값: %d\n", m < n); printf("m >= n의 결과값: %d\n", m >= n); printf("m<=n의 결과값: %d\n", m <= n); return 0; } |
숙제 (0) | 2019.04.12 |
---|---|
숙제01 (0) | 2019.04.08 |
08. 자료형, 메모리 크기 (0) | 2019.04.03 |
07. 숙제 (0) | 2019.03.29 |
06. 연산자, 프로그램 구조 (0) | 2019.03.27 |
전처리기는 빌드 들어가기 전에 시작함.
멀티 플랫폼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사용.
메크로를 이용해서 조건에 따른 컴파일을 하는 것을 배움.
main.cpp
#include <iostream> #include <algorithm>//max사용 using namespace std; #define MAX(a,b) (((a)>(b))?(a):(b)) //메크로 void doSomething(); int main() { doSomething(); //cout << MAX(1,20) << endl; //cout << max(1 + 3,2) << endl; //include <algorithm>에 있음 return 0; } |
*메크로: 코드를 다음 것으로 바꾸는 것 (주로 대문자로 씀) -> 최근에는 function을 더 많이 사용.
source.cpp
#include <iostream> |
2.5 부동소수점 수 (0) | 2019.04.11 |
---|---|
2.1 기본 자료형 소개 (0) | 2019.04.10 |
1.13 네임 스페이스 (명칭 공간) (0) | 2019.04.03 |
1.12 헤더가드 (0) | 2019.04.03 |
1.11 헤더 파일 만들기 (0) | 2019.04.01 |
중복된 함수명을 사용하고 싶을 때
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//cout이 namespace std 안에 정의되어 있다. namespace MySpace1 //네임 스페이스 { int doSomething(int a, int b) { return a + b; } } int doSomething(int a, int b) //함수 { return a * b; } int main() { cout << MySpace1::doSomething(3, 4) << endl; //네임 스페이스 호출 법 cout << doSomething(3, 4) << endl; //함수명만 쓰면 함수가 출력 됨 return 0; } |
using namespace MySpace1;
을 미리 선언해주면 앞에 공간을 지정하지 않고 함수명만 사용할 수 있다.
using namespace MySpace1; doSomething(3, 4); // == MySpace1::doSomething(3, 4); |
namespace안에 namespace를 쓸 수 있다.
MySpace1::InnerSpace::doSomething(3, 4); |
2.1 기본 자료형 소개 (0) | 2019.04.10 |
---|---|
1.14 전처리기와의 첫만남 (0) | 2019.04.08 |
1.12 헤더가드 (0) | 2019.04.03 |
1.11 헤더 파일 만들기 (0) | 2019.04.01 |
1.10 선언과 정의의 분리 (0) | 2019.04.01 |